이전의 포스팅에서 AD Fraud와 노출된 광고를 검증하는 광고 검증(Ad Verification)을 알아보았습니다. 광고 검증은 광고 노출 후에 검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광고 노출 이전에 광고를 거래하는 플랫폼이 정말 광고주가 노출하고 싶은 매체와 거래를 하고 있는지 알아 볼 수 있다면, 더 안전한 광고 거래를 할 수있습니다. 이런 신뢰높은 광고 거래를 할 수 있게 돕는 것이 바로 Ads.txt입니다.
Ads.txt가 무엇인가?
Ads.txt는 Authorized Digital Sellers의 약자로 Lab Tech Lab 프로젝트를 통해 개발 되었습니다. AD Fraud의 도메인 스푸핑(Domain Spoofing)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매우 불투명 했던 광고 시장의 투명성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브랜드나 광고주들이 광고 사기꾼들의 인벤토리가 아닌 실제로 운영 되고, 효율 있는 광고 인벤토리를 구입하도록 지원합니다. 매체가 제공하는 ads.txt의 목록을 통해서 광고주가 인벤토리를 구매할 때, 승인된 매체인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도메인 스푸핑(Domain Spoofing)
AD Fraud의 일종으로 실제 구매하고자 하는 인벤토리가 있는 사이트가 아닌, 전혀 관계가 없는 사이트 도메인으로 변경하는 기법
Ads.txt가 왜 필요한가?
이미 Ads.txt가 광고 시장에서 채택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만약 매체에서 Ads.txt를 구현하지 않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그렇게 된다면, 매체가 가지고 있는 인벤토리를 아무나 판매할 권한이 있다고 판단됩니다. 간단하게 말하자면, 실제 판매자인 매체 대신에 가짜 판매자가 판매를 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된다면 매체의 광고 수입은 줄어들게 됩니다. 이런 광고 사기드르을 막기 위해서 매체는 Ads.txt를 사용합니다.
Ads.txt가 어떻게 작동하는가?
- 매체가 자신의 광고 인벤토리를 판매하도록 계약한 인벤토리 판매 플랫폼(SSP, Network, Exchange 등)의 목록을 매체의 서버에 txt형식으로 공개.
- AD Tech 플랫폼 : 매체가 인벤토리를 판매하는 SSP, Network, Exchange 등
- AD Tech 내의 매체 ID : AD Tech 플랫폼 내의 계정 ID로 RTB 경매 중 인벤토리의 신신뢰성 확인할 때 사용
- DIRECT/RESELLER : DIRECT는 매체가 AD Tech 플랫폼과 직접 협력하여 인벤토리 판매함을 의미, RESELLER는 매체가 다른 회사가 자사의 인벤토리를 대신 판매하도록 승인한 것을 의미
- 인증기관 ID : 광고 시스템을 식별하는 인증 기관 ID 나열
- # 인벤토리 유형 : 매체가 판매하는 인벤토리 유형(배너, 동영상 등) 나열
- 광고주 또는 광고하고자 하는 브랜드들은 txt 목록을 웹 크롤러를 이용해 정기적으로 수집
- 광고주는 만들어진 txt 목록을 이용해 인벤토리를 구매하는 것에 대해 입찰 경로가 승인된 매체를 통해 온 것인지 확인하는 유효성 확인 가능
간단하게 예를 들어 말하자면, 광고주가 판도라 AD Exchange인 Prism을 통해 pandora.com의 인벤토리를 구매하려는 경우, Pandora.com/ads.tx에 접속하여 PrismADX가 승인된 판매자인지 확인하여, 안전하게 인벤토리를 구매할 수 있게 됩니다.
결국 Ads.txt는?
Ads.txt는 IAB에서 발표한지 몇 년되지 않은 새로운 광고 기술 중에 하나입니다. 발표 이후 해외에서는 많은 매체 특히, 언론계의 매체에서 많은 비율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게다가 구글에서 Ads.txt를 사용하여 승인되지 않은 인벤토리에 관하여는 필터링을 한다는 발표 이후가 있은 후로 Ads.txt 사용도는 더욱 증가하게 되었습니다. 이렇듯이 Ads.txt를 사용하는 매체들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입니다. 매체에게 골치거리였던 AD Fraud의 일종인 도메인 스푸핑을 해결하며, 신뢰감있는 광고 거래를 지속할 수 있다는 장점은 매체들에게 수익을 가져올 것입니다.
※ 참고자료
- 『[모비랩의 테크인사이드] Ad Fruad, 그리고 ads.txt』 (mobi inside, 2017.10)
- 『What is Ads.txt and How Does It Work?』 (CLEARCODE, Maciej Zawadzińs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