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시스코1 2 3 4

시스코 코리아가 전세계 모바일 트렌드를 분석한 ‘2015-2020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VNI)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를 내놓았다.

시스코는 향후 5년간 전세계의 ▲모바일 기기 수용 ▲증가된 모바일 커버리지 ▲모바일 컨텐츠 수요로 인해 생성되는 성장세가 세계 인구 증가보다 2배 빠를 것으로 전망했다. 또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모바일 기기 ▲스마트 기기 ▲모바일 비디오 ▲4G 네트워크 사용 급증에 따라 전세계적으로 8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그 웹스터 시스코 서비스 프로바이더 마케팅 부문 부사장은 “그 어느 때보다 수십 억의 인구와 사물이 활발히 연결되면서 모빌리티는 글로벌 디지털화로의 전환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되었다”라며 “새로운 요구사항, 보안 우려, 사용자의 니즈를 해결하기 위해, 5G 및 와이파이 솔루션 같은 셀룰러 부문에서 새로운 혁신이 필요해질 것이며, 사물인터넷이 사람, 기업, 사회를 가시적으로 발전시켜 나갈 것이다”라고 말했다.

다음은 ‘비주얼 네트워킹 인덱스(VNI) 글로벌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 보고서’를 요약한 내용이다.

‘스마트 폰’이 모바일 트래픽의 대부분 차지

시스코는 2020년에는 전세계 스마트 모바일 기기 및 연결이 전체 모바일 연결의 72%를 차지하면서, 2015년 36%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202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98%가 ‘스마트’ 트래픽 일 것으로 예상했다.

특정 디바이스로 조사해 볼 때, 전세계적으로 대다수의 모바일 트래픽이 스마트폰에서 발생할 것이며, 2020년에는 스마트폰이 전체 모바일 트래픽의 81%를 차지해 2015년 76% 대비 증가할 전망이다. 모바일 폰이 빠르게 확산되면서 2020년까지 전세계적으로 54억명이 모바일폰을 사용할 것으로 보이며, 이는 전기(53억 명), 수도(35억 명), 자동차(28억 명) 사용자 수를 넘어서는 수치다.

한국은 2020년까지 ‘스마트’ 연결이 LPWA(Low-Power, Wide-Area)을 제외한 모바일 연결의 100%를 차지하면서 2015년 89% 대비 증가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20년까지 한국은 100%의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이 ‘스마트’ 트래픽에 해당될 것으로 예상된다.

모바일 기기와 연결, 더욱 스마트해진다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모바일 레디(Mobile Ready) 기기 및 연결은 개인용 모바일 기기 85억 개와 M2M(기기간, Machine to Machine) 연결 31억 개를 포함해 전세계적으로 2015년 79억개에서 2020년 116억개로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까지 전세계 모바일 기기 가운데 67%가 스마트 기기 및 연결에 해당될 전망이며, 이는 2015년 36%대비 증가한 수치이다. 한국의 모바일 기기 연결은 2020년 80%가 ‘스마트’ 연결이 될 전망이다.

2020년까지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98%가 스마트 기기 및 연결에서 발생해 2015년 89%대비 증가할 전망이다. 한국의 2020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100%가 ‘스마트’ 트래픽이 될 전망이다. 2020년까지 스마트폰, 랩탑, 태블릿이 전세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약 92%를 차지할 전망이다.

M2M 연결은 전세계 모바일 트래픽 중 2015년 3%에서 2020년 7%로 증가할 전망이며, 한국은 2015년 6%에서 2020년에는 14%를 차지할 전망이다.

카메라폰이 출시된 2000년이래 ‘모바일 사용자’ 수 급증

전세계적으로는 카메라 폰이 처음으로 출시됐던 2000년 이래 모바일 사용자 수는 5배 증가했다. 오는 2020년에는 55억명으로, 전세계 인구 70%를 차지하게 될 것이다.

2020년 한국 모바일 사용자 수는 4610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90%에 달할 것이다. 시스코는 연간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은 7.8엑사바이트로 향후 5년간 5배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 ‘비디오’ 여전히 우세

“모바일 트래픽, 5년 안에 10배 는다”

“모바일 트래픽, 5년 안에 10배 는다”

전세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중에서는 모바일을 통한 비디오 사용이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할 전망이다. 또한 개인이나 기업 사용자들 모두 더 높은 해상도와 대역폭, 속도에 대한 니즈가 커짐에 따라 4G 연결 기기들의 사용량이 증가할 것이다. 시스코는 2018년에는 2G, 2020년에는 3G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했다. 2020년에는 4G가 모바일 트래픽의 70% 이상을 차지하며 4G 연결이 4G가 아닌 연결보다 매월 약 6배 더 많은 트래픽을 생성할 것이라 보았다.

한국의 2020년 비디오 사용 역시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76%를 차지해 2015년 60%대비 증가할 것이며, 모바일 비디오 트래픽은 6.3배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네트워크 타입의 경우, 한국의 3G연결이 22.1%, 4G 연결은 72.2%를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 및 4G 연결 증가

2020년 전세계 4G 보급률 증가로 인해 전세계 평균 모바일 네트워크 속도는 2015년 2.0 Mbps 대비 2020년 6.5 Mbps로 3.2배 늘어날 전망이다. 한국은 2015년 11.8Mbps에서 2020년에는 19 Mbps로 1.6배 증가할 전망이다.

2020년 전세계 4G 연결은 전체 모바일 연결의 40.5%를 차지할 것이며, 한국은 57.7%를 차지할 전망이다.

2020년 전세계 3G 연결은 전체 모바일 연결의 38.7%로 2015년 33.7% 대비 증가할 것이며, 한국의 3G 연결은 2015년 34.8%에서 22.1%로 낮아질 전망이다.

2020년 전세계2G 연결은 전체 모바일 연결의 13.5%로 2015년 52.3%보다 낮아질 전망이며, 한국은 2015년 0.8%에서 0.2%로 낮아질 전망이다.

전세계 4G 트래픽은 2015년에서 2020년까지 13배 증가할 것이며, 한국은 연 평균 39%씩 성장해 2020년까지 5배 증가할 전망이다. 전세계적으로 2020년까지 4G연결은 전체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72%를 차지할 것이다.

M2M·웨어러블 기기 수 지속 증가

2020년까지 전세계 M2M연결은 모바일 연결 기기들의25%에 해당하는데 이는 2015년 모바일 연결 기기들의 7.7%에서 증가한 수치이다. 한편 한국은 2020년까지 M2M 모듈이 기기연결의 66.4%를 차지할 전망이다.

2020년까지 전세계 M2M은 전체 모바일 트래픽의 6.7%를 생성해 2015년 2.7% 대비 증가할 것이며, 한국은 2015년 6%에서 2020년 14%로 증가할 전망이다.

전세계에서 2020년까지 사용되는 웨어러블 기기 수는 2015년 9700만 개에서 약 6배 증가한 6억 개를 넘어설 것 이며, 한국의 경우 2240만개로 2015년 470만개보다 약 5배 증가할 전망이다.

 

#출처 : [블로터] [그래픽] 시스코,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 전망